닫기

미 중위가구 소득 8만600달러, 4%p 상승...빈곤층 3만900달러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global.asiatoday.co.kr/kn/view.php?key=20240911010006929

글자크기

닫기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승인 : 2024. 09. 11. 08:08

지난해 미국 중위가구 소득, 8만600달러...4.0%p 상승
아시아계 11만2800달러, 백인 8만4630달러
히스패닉 6만5540달러, 흑인 5만6490달러
가구 연소득 3만900달러 미만 빈곤율, 11.1%...0.4%p 하락
미국 중위소득
미국 인구조사국(USCB)이 10일(현지시간) 발표한 지난해 중위 가구 소득./미 인구조사국 연례 보고서 캡처
지난해 미국 중위 가구 소득이 전년 대비 상승해 8만달러를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공식 빈곤율도 전년 대비 0.4%포인트 하락해 11.1%를 기록했다.

◇ 지난해 미국 중위 가구 소득, 8만600달러...전년 대비 4.0%포인트 상승
아시아계 11만2800달러, 백인 8만4630달러, 히스패닉 6만5540달러, 흑인 5만6490달러

미국 인구조사국(USCB)은 10일(현지시간) 발표한 연례 보고서에서 2023년 실질 중위 가구 소득이 2022년 7만7540달러(1억425만원)에서 4.0% 오른 8만610달러(1억838만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중위 가구 소득은 가구별 소득을 1등부터 100등까지 나열했을 때 50등 가구가 벌어들이는 소득을 말한다.

인구조사국은 공식 빈곤율도 0.4%포인트 하락해 11.1%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인구조사국은 지난해 실질 중위 가구 소득과 관련, "2019년 이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간 증가율을 보인 첫 번째 사례"라고 평가했다. 2019년 중위 소득은 8만1210달러(1억918만원)였다.

AP통신도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이전 수준으로 반등했다"며 "40년 만의 가장 큰 물가 급등을 극복하고 대부분 미국인의 구매력이 회복됐다"고 평가했다.

지난해 실질 중위 가구 소득을 인종별로 보면 백인은 5.4% 증가한 8만4630달러(1억1378만원), 흑인은 2.8% 오른 5만6490달러(7595만원)였고, 히스패닉은 6만5540달러(8811만원), 아시아계는 11만2800달러(1억5165만원)로 큰 변화가 없었다.

빈곤율
미국 인구조사국(USCB)이 10일(현지시간) 발표한 공식 빈곤층 인구와 빈곤율./미 인구조사국 연례 보고서 캡처
◇ 지난해 미 공식 빈곤율, 11.1%...0.4%포인트 하락...아동 빈곤율 상승, 대선후보 세액공제 복원·확대 논쟁

아울러 2023년 공식 빈곤율은 11.1%로 전년 대비 0.4%포인트 하락했다. 빈곤층 인구는 3680만명으로 전년과 동일했다.
4인 가족(성인 2명·자녀 2명)인 가구의 가중 평균 빈곤 기준선은 연간 소득 3만900달러(4155만원)다.

다만 납부한 세금·세금 공제·비현금 지원 등을 고려한 보조(supplemental) 빈곤율은 12.9%로 전년보다 0.5%포인트 상승했다.

보조 빈곤율은 최근 수년 동안 연방정부의 코로나19 팬데믹 구제 프로그램의 영향이 나타났기 때문에 면밀히 관찰돼 왔다. 아동 세액공제가 강화된 2021년의 아동 빈곤율은 5.2%로 전년 대비 절반 가까이 감소했는데, 2022년엔 12.4%로 팬데믹 이전과 거의 비슷한 수준이 됐다가 지난해엔 13.7%로 증가했다.

이에 따라 이번 대선에서 아동 세액공제 확대가 주요 이슈 중 하나가 됐다. 민주당 대통령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은 자녀당 최대 3600(484만원)달러였던 기존 세액공제를 복원하고, 6000달러(807만원)의 신생아 세액공제 신설을 제안했다.

공화당 부통령 후보인 J.D. 밴스 상원의원은 자녀당 세액공제를 5000달러(672만원)로 인상한다는 구상이다.

지난해 무보험 비율은 8%로 전년과 거의 같은 사상 최저치에 근접했다. 직장 건강보험 가입자 비율은 53.7%로 0.7%포인트 떨어졌다. 팬데믹 당시 메디케이드(저소득층 공공의료 지원) 수급자에 대한 자격 박탈을 금지한 법이 지난해 4월 만료됨에 따라 올해 무보험 비율은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고 CNN방송이 전망했다.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