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환경부에 따르면 지난해 5만6000대인 국내 전기차 대수는 2030년까지 매년 평균 15% 증가해 300만대에 이를 전망이다. 반면 전기차 충전소는 태부족 상태다. 서울시에만 1만2000대가 넘는 전기차가 주행 중이지만 전기차 충전기는 1467기에 불과하다. 그마저 관공서와 공영주차장 등에 주로 설치돼 있어 이용이 쉽지않다.
최근 대기업 계열 정유사들이 기존 주유소 플랫폼을 활용해 전기차 충전 서비스를 속속 도입하고 있지만 아직은 미미한 수준이다. 한국주유소협회에 따르면 전국 1만2000여 곳의 주유소 중 전기차 충전기가 설치된 곳은 59곳에 불과하다.
수소차 충전소의 도입 속도는 더욱 더디다. 이유는 뭘까. 전기차 충전 서비스는 미래 수익성을 내다보고 투자한다지만, 수소차는 전기차에 비해 상용화까지 더 오래 걸려 수익 전망이 불투명해 선뜻 투자에 나서지 못하고 있어서다.
다음 달 서울 도심 복판인 여의도 국회의사당에는 수소충전소가 완공된다. 이의 상징적 의미는 작지않을 테지만 초라한 현실을 감추지는 못할 것이다. 전국에 설치된 수소충전소 수가 11곳뿐이기 때문이다. 그나마 고장 나거나 낡아 실제 이용 가능한 수소충전소는 손에 꼽을 정도라고 한다.
친환경차 선진국들의 특징은 기술력과 함께 정부 중심의 지원과 인프라 구축이 잘 돼 있다는 것이다. 노르웨이는 전기차를 이용하면 등록세와 부가가치세 등 세금을 깎아 준다. 공영주차장·톨게이트 비용도 공짜다. 인구 50만명의 수도 오슬로 시내에는 1만 곳이 넘는 전기차 충전소가 설치돼 있다.
친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기·수소차의 인기는 점점 더할 전망이다. 친환경차 보급과 충전소 등 인프라 구축이 동반돼야 미래차 시대로 나아갈 수 있다. 정부 주도의 지원·투자와 인프라 공급 업체의 적극적인 참여로 민간업체까지 수익을 낼 수 있는 구조가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