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신의술 자가지방유래 기질혈관분획(SVF) 시술 ‘최소 6시간 이상 입원’ 적정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global.asiatoday.co.kr/kn/view.php?key=20240924010013039

글자크기

닫기

김시영 의학전문기자

승인 : 2024. 09. 24. 11:28

보험사, 신의술 의학적 효능 불구 '실손보험 지급 제동' 분란 키워
대한마취통증의학회 '마취 후 경과 관찰' 의학적 가이드라인 제시
고용곤 연세사랑병원 병원장 "치료 과정 확실한 기준 정립 도움"
환자의 몸에서 지방조직 채취사진
대한마취통증의학회는 최근 '자가지방유래 줄기세포(SVF) 시술'에 사용할 지방조직 채취를 위한 수면마취 후 경과관찰 필요성 여부 질의에 '최소 6시간 이상 혹은 하루 이상 입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놨다.신의술에 대한 보험사의 실손보험 지급 제동 관행이 개선될 지 주목된다. 의료진이 환자의 몸에서 지방조직을 채취하고 있다. /연세사랑병원
정부가 인정한 신의료기술 치료에 대한 실손보험 보장 기준 미비로 환자와 보험사간 갈등·분쟁이 증폭되고 있는 가운데 의료전문가단체의 의학적 가이드라인이 제시됐다. 의학적 효능에도 불구, 신의술에 대한 보험사의 실손보험 지급 제동 관행이 개선될 지 주목된다.

24일 의료계에 따르면 대한마취통증의학회는 '자가지방유래 기질혈관분획(SVF) 시술'에 사용할 지방조직 채취를 위한 수면마취 후 경과관찰 필요성 여부 질의에 '최소 6시간 이상 혹은 하루 이상 입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놨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도 SVF 신의료기술 인정 이후 신청한 입원료에 대해 '입원치료가 적정하다'고 인정하고 있는 만큼, 보험사들의 실손보험 지급 거절 이유로 들고 있는 '입원 불필요'에 대한 논란을 잠재울 것으로 보인다.

SVF 시술은 연세사랑병원이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으로부터 올 5월 무릎 골관절염의 주사적 치료로 '신의료기술'로 안전성·유효성 인정을 받았다. 치료법은 관절염 2~3기에 해당하는 무릎 골관절염 환자들의 기능 개선 및 통증 완화에 안전하고 유효한 기술로 평가받았다.
치료법은 무릎 골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환자의 복부 또는 둔부에서 채취한 자가지방조직을 분리·추출해 농축된 줄기세포인 기질혈관분획(SVF)을 무릎 관절강(뼈와 뼈 틈새) 내 직접 주사하는 시술이다.

환자 자신의 체내 지방을 100㏄ 이상 채취하는데 약 1시간의 마취가 필요하고 하루 정도 입원한다. 또 지방 채취, 세포 분리 및 세척 과정에서 오염 예방을 위해 우수한 시설 및 체계적인 시스템도 필요하다.

SVF 시술은 이처럼 조직 채취, 세포 분리, 입원, 마취 시술 등 일련 치료 과정이 완연히 다른 새로운 치료법이지만 보험업계에서 기존 치료와 동일한 잣대를 들이대면서 환자의 치료받을 권리가 박탈당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돼왔다.

자가지방유래 기질혈관분획(SVF) 시술을 위한 전신마취와 이에 준하는 수면마취는 최소 6시간 이상 관찰이 권장되고 입원이 필요한 경우도 있는데다 고령자나 기저질환자는 회복 및 경과관찰 시간이 더 길어질 수 있다는 게 학회 입장이다.

학회는 "환자가 마취에서 완전히 회복하기 전에 경과관찰을 중단하고 퇴원할 경우 호흡 억제 및 저산소증, 저혈압과 쇼크, 구토, 흡인성 폐렴, 혼동·판단력 저하, 낙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며 "수면마취를 포함한 전신마취를 받은 환자는 당일 운전이나 운동, 판단력이 요구되는 활동을 금지하는 것을 권유한다"고 강조했다.

줄기세포 지방조직은 환자 둔부 혹은 복부에서 채취한다. 시술 때 통증이 상당하고 환자 움직임이 없어야 안전한 채취가 이뤄질 수 있어 깊은 진정 수준 이상의 마취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지방조직 채취 때 환자에게 펜타닐 100mg, 미다졸람 5~10mg, 프로포폴 400mg(점적정맥주사총량)을 투여한다.

학회는 "이들 3가지 약물 조합으로 수면 마취를 시행한 경우 보통은 10~30분 이내 의식을 회복하기 시작한다"며 "다만 환자가 의식을 회복한 후에도 약간의 졸음, 어지러움, 혼동 상태가 남아 있을 수 있고 이는 몇 시간 동안 지속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신마취 후 부작용으로는 투여 중이나 투여 직후 호흡억제·저혈압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수면마취 종료 후 1~4시간 이내 발생 가능 부작용은 오심·구토·두통·졸음·기억상실 등이다. 그 이후에도 졸음·혼동·혈압저하·기립성 저혈압 등이 최대 12시간까지 지속될 수 있다.

고용곤 연세사랑병원 병원장은 "환자 대부분이 고령이거나 비만 혹은 기저질환자라는 점을 감안할 때 당일 퇴원은 위험성이 있어 보인다"며 "채취에 따른 시술 후 통증조절, 출혈, 지방색전, 복부천공(복부 채취시) 등의 부작용 관찰을 위해서 입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고 병원장은 "의료전문학회 의견은 환자 마취 시 안전성과 부작용 최소화를 최우선으로 고려한 의학적·객관적 판단"이라며 "줄기세포 지방조직 채취·농축·주입의 입원 필요성, 마취·시술 등 일련의 치료 과정에 대한 확실한 기준 정립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시영 의학전문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