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024 국감] “주택 매입 자금 어떻게 마련했나”…30대는 주식 처분, 40대는 ‘갈아타기’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global.asiatoday.co.kr/kn/view.php?key=20241014010006851

글자크기

닫기

김다빈 기자

승인 : 2024. 10. 14. 10:14

이미지
서울의 한 아파트 밀집지역 모습./연합뉴스
올해 들어 보유하고 있던 부동산·주식 등을 팔아 주택 매입 자금을 마련한 이들이 크게 증가한 가운데, 연령대 별 자금 마련 방법에는 다소 차이가 있던 것으로 나타났다.

20∼30대에선 주로 주식·채권 매각 등으로 매입 비용을 마련한 반면, 40∼50대에선 기존 주택을 팔아 새집으로 옮기는 '갈아타기' 증가가 두드러졌다.

14일 국토교통부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이연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주택 자금조달계획서상 자금조달 방법별 구분' 자료를 보면 올해 1∼8월 전국 주택 매수자(계약일 기준)가 '부동산 처분 대금'으로 자금을 조달하겠다고 신고한 비율은 57.8%였다.

이 비율은 2022년 27.0%, 지난해 55.5% 등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올해 서울 등 수도권 집값 상승세가 뚜렷해지며 '갈아타기'가 늘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자금조달계획서는 주택 매수자가 주택을 취득할 때 사용할 자금의 출처와 조달 방법을 신고하는 서류다. 주택 가액이 6억원 이상이거나, 서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 용산구 등 투기과열지구에서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 반드시 제출해야 한다.

연령대별 자금조달계획서 제출을 따져보면 올해 들어선 40대가 2만7173건(18.1%)으로 가장 많았다. 30대가 2만4623건(16.4%)으로 뒤를 이었다.

이 가운데 그간 아파트 등 주택 매수를 보류했던 40대 수요자들은 올해 상급지 갈아타기 매매에 적극 뛰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40대 주택 구매자의 65.4%는 '부동산을 처분해 집 살 돈을 마련했다'고 신고했다. 50대에서는 이 비율이 57.0%였으며, 30대는 51.8% 수준이었다.

이를 포함해 부동산 처분 대금으로 자금을 마련했다고 신고한 40∼50대 비율은 지난 2022년 29.2% 수준에서 지난해 58.6%, 올해 1∼8월 62.3%로 매년 높아지고 있다. 20∼30대에서도 2022년 20.8%에서 올해 49.9%로 이 비율이 늘었다.

'주식·채권 매각대금'으로 자금을 조달하겠다고 신고한 이들도 증가했다. 이를 통한 자금 조달 신고 비율은 2022년 4%로 낮았지만 지난해 6.3%, 올해 1∼8월 13.8%로 급증했다.

주식·채권을 팔아 올해 집을 사들인 비율은 30대가 17.0%로 가장 높았다. 이어 △20대(16.4%) △40대(13.7%) △50대(11.4%) 순이었다.

주식을 팔아 집을 산 20∼30대도 2022년 5.9%에서 2년 새 17.0%로 3배 가까이 늘었다. 40∼50대 역시 이 비율이 3.4%에서 12.9%로 뛰었다.

증여·상속을 통한 20∼30대의 주택 구입도 늘었다. 올해 1∼8월 주택 매입자금 출처를 '증여·상속'으로 신고한 20∼30대 비율은 22.7%로, 지난해(17.8%)보다 4.9%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이른바 '갭투자' 비율은 낮아졌다. 자금조달계획서상 임대보증금을 승계해 주택을 구입하겠다고 신고한 비율은 올해 1∼8월 36.8%를 기록했다. 앞서 이 비율은 2022년 44.6%에서 지난해 35.8% 수준으로 떨어졌다가 소폭 상승한 바 있다.

금융기관 대출액으로 매입 자금을 조달했다는 비율도 증가했다. 자금 출처가 '금융기관 대출액'이라고 신고한 주택 매입자는 지난해 44.1%에서 올해 1∼8월 68.7%로 증가했다.

30대의 경우 81.8%가 대출이 자금 출처라고 신고했다. 이어 △40대 73.8% △20대 60.5% △50대 56.0%가 뒤를 이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올해 대출을 크게 일으켜 매수에 나선 30∼40대가 주택 매입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주식까지 처분했다"며 "이들은 주로 주식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경향이 있는데, 최근 투자처가 최종적으로 부동산으로 흘러가고 있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김다빈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