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기자의눈] 빚투라도 해야 하는 그들의 절박함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global.asiatoday.co.kr/kn/view.php?key=20210907010003987

글자크기

닫기

설소영 기자

승인 : 2021. 09. 07. 16:27

설소영 증권부 기자
설소영 증권부 기자
청년층은 ‘빚투’ 광풍의 핵심 주인공이다. 청년 둘 이상만 모이면 으레 주식이나 코인 얘기부터 오간다. 사상 최악의 취업난 등으로 청년층은 미래로 나아갈 기회를 찾지 못하고 있고, 급기야 실낱 같은 희망을 걸고 빚투에 나선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민형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2030대 신용공여 현황’을 보면 신용융자 잔고는 지난 6월말 기준 7조7640억원을 기록했다. 코로나19 발발 전인 2019년 말(19조8824억원)과 비교해 2.6배나 늘었다.

특히 올 상반기 기준 신용융자 잔고는 30대가 2조8973억원, 20대가 5324억원으로 2019년 말 대비 각각 2.9배, 4배 증가했다. 20대의 절박함이 30대보다 훨씬 크다는 것을 읽을 수 있다.

신용융자 잔고는 투자자들이 주식 매수 등을 위해 증권사로부터 빌린 돈이다. 과도한 레버리지 투자를 위한 것인데, 주식 하락시 리스크를 고스란히 떠안게 된다.
그나마 장이 상승기조라면 청년층의 고통이 덜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한국은행이 금리인상 기조로 돌아선 지금, 주식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청년층의 애간장을 태우고 있다. 자칫 악순환이 반복되며 많은 청년들이 빚의 굴레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상황도 우려된다.

물론 1차 책임은 빚투에 나선 청년들에 있다. 그럼에도 우리는 ‘믿지마 빚투’에 나선 그들을 비난만 할 수 있을까. 청년 개개인의 욕심이 초래한 결과라며 손가락질하고 말 일인가. 그들을 빚투로 내 몬 사회·경제적 환경이 있지 않을까.

지금과 같은 저금리 시대에는 과거와 달리 저축 만으로 목돈을 만들 수 없다. 1%도 되지 않는 금리구조에서 적금은 코흘리개 저금통이나 다름없다. 그나마 저축할 여윳돈을 마련하는 이는 다행이다. 직업도 없이, 알바를 전전하는 수많은 청년들에겐 빚투가 유일한 희망일 수도 있다.

청년들의 빚투를 막기 위해 대출을 줄이는 건 금융당국으로선 당연한 조치다. 하지만 그들을 빚투 확산의 주범으로 지목하고 퇴출대상으로만 다룰 일인가. 한국에서 청년층을 보듬는 정책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 현재를 이어 미래로 나아가는 사람은 결국 그들, 청년층이지 않은가.
설소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