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삼정KPMG “국내 AI 헬스케어 시장 연평균 50.8% 성장 전망”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global.asiatoday.co.kr/kn/view.php?key=20240703010002311

글자크기

닫기

조은국 기자

승인 : 2024. 07. 03. 15:18

'AI로 촉발된 헬스케어 산업의 대전환' 보고서 발간
"2030년 국내 AI 헬스케어 시장 67억 달러 달할 듯"
삼정
헬스케어 산업에서 AI(인공지능) 기술 접목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가파른 성장률을 보이는 국내 AI 헬스케어 산업의 현황과 시장 선점을 위한 비즈니스 전략이 제시됐다.

삼정KPMG는 3일 'AI로 촉발된 헬스케어 산업의 대전환' 보고서를 통해 AI 헬스케어 시장의 현황 및 전망, 국내외 AI 헬스케어 산업 내 경쟁 구도, 시장 선점을 위한 전략 등을 제시했다.

AI 헬스케어는 보험청구정보, 학계 논문 등과 같은 기존 의료 데이터뿐만 아니라 생체 데이터, 라이프로그, 유전체 정보 등 확보하기 어려웠던 새로운 데이터까지 수집 및 통합하고 AI 기술을 통해 이를 분석해 환자에게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제공하는 의료 서비스다.

시장 조사기관 마켓앤마켓에 따르면 글로벌 AI 헬스케어 시장 규모는 2023년 158억 300만 달러에서 2030년 1817억 9000만 달러까지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AI 헬스케어 시장 또한 2023년 3억7700만 달러에서 매년 50.8% 성장하며 2030년엔 66억7200만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AI 헬스케어 시장 성장 속도는 같은 기간 글로벌 평균(41.8%)과 아시아 평균(47.9%)을 상회하는 수치다.

한국의 AI 헬스케어 시장이 가파른 성장 속도를 보이는 이유는 우수한 5G 통신망에 있다. 한국은 글로벌 시장에서 5G 기술의 압도적인 우위를 보이고, 5G 가입자 비중도 전 세계 2위다. AI 헬스케어 발전의 중요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는 셈이다. 또한 한국의 전자의무기록(EMR) 보급률은 90% 이상이고 전 국민이 건강보험이라는 단일 보험 제도에 가입돼 있어 의료 빅데이터 확보에 용이하다.

한국 의료기기 기업들의 기술력 증대도 배경이다. 의료기기 무역 수지는 2022년 3조8593억 원으로 3년 연속 흑자를 기록하고 있고, 의료 영상 데이터 분석 기술 특허출원 증가 속도도 세계 2위를 나타냈다.

향후 AI 헬스케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먼저 의료기관 간의 데이터 연계뿐만 아니라 전자의무기록(EMR)과 개인건강데이터(PHR) 간의 연계도 아우르는 상호운용성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또한 민감성 개인정보가 유출되지 않기 위한 안정성 확보가 필수적이다. 네트워크 보안, 클라우드 보안, 상호 연결된 협업구조 전반의 데이터 보안 등을 위한 사이버 보안 시스템이 선결돼야 한다.

아울러 AI 헬스케어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추후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한 명확한 윤리·사회적 합의가 요구된다. 학습 데이터의 편향성, 의사 결정 과정의 투명성과 책임 소재, 환자에 대한 안전보장과 사회적 영향 등 윤리·사회적 문제에 대해 이해관계자들의 합의를 이끌어 내야 한다.

IBM, 구글 등 글로벌 기업들은 일찌감치 다양한 분야의 스타트업을 인수하고, 관련 기술을 개발하는 등 AI를 헬스케어 산업에 접목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최근에는 가속화된 기술 개발과 함께 의료진, 환자 등 사회 전반이 디지털 환경에 적응하고 있고, 이에 엔비디아, 존슨앤존슨, 캐논, 텐센트 등 다양한 규모의 기업들이 AI 헬스케어 산업에 진출하고 있다.

국내 AI 헬스케어 서비스 또한 IT 기술의 발달, 고령화와 맞물려 성장성이 더욱 주목된다. 이에 병원, 의료기기뿐만 아니라 빅테크, 제조, 통신사 등 다양한 기업들이 의료기기 및 의료 서비스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삼정KPMG 헬스케어 산업 담당 박경수 파트너는 "국내 AI 헬스케어 기업은 글로벌 점유율이 높은 해외 의료기기 업체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해외시장 진출로 확보를 모색하며, 이종 산업 간의 M&A를 적극적으로 추진해 시너지 창출을 모색하는 움직임을 보인다"라며 "AI 헬스케어 시장의 니즈와 규제, 기술적 측면 등을 고려한 구체적인 비즈니스 모델 수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은국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