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기재부, 두달째 내수 회복 진단…“물가 상승세 둔화”

기재부, 두달째 내수 회복 진단…“물가 상승세 둔화”

기사승인 2024. 06. 14. 17:32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최근 경제동향 6월호
방한 관광객↑…소비심리는 우려
2024년 6월 최근 경제동향은<YONHAP NO-3030>
기획재정부 김귀범 경제분석과장이 14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2024년 6월 최근 경제동향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
정부가 두 달 연속 '내수 회복 조짐' 평가를 내렸다. 다만 재화소비보단 서비스 소비 위주로 이 같은 흐름이 포착되고 있어 향후 회복 흐름이 계속 되는지 면밀히 관찰하고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14일 기획재정부는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6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물가상승세가 둔화하는 가운데 제조업·수출 호조세에 방한 관광객 증가·서비스업 개선 등 내수 회복 조짐이 가세하고 있다"며 "경기회복 흐름이 점차 확대되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내수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언급이 나온 건 지난달부터다. 국내총생산(GDP) 잠정치에 따르면 1분기(1∼3월) 민간소비는 전분기보다 0.7%, 작년 같은 분기보다 1.0% 증가했다. 4월에는 소매판매가 내구재를 중심으로 전월보다 1.2% 감소했으나 서비스업 생산은 도소매업(1.7%) 등에서 증가해 0.3% 늘었다.

김귀범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산업활동을 보면 서비스소비가 계속 개선되고 있어서 회복 조짐을 시사하는 게 아니냐고 보고 있다"며 "다만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게 정책을 해야하는 정부 입장에선 굉장히 경각심을 갖고 향후 더 확산될지 혹은 꺼질지 관측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직 발표 전인 5월 소비에는 카드 승인액과 방한 관광객 증가세, 온라인 매출액, 고속도로 통행량 증가 등이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정부는 내다봤다. 반면 소비자심리지수 하락, 국산 승용차 내수 판매량 감소, 소상공인 체감경기지수 하락 등은 부정 요인으로 꼽았다.

제조업·수출 호조세는 계속되고 있다. 수출은 작년 10월부터 지난달까지 8개월째 증가세다. 4월 광공업 생산은 광업과 전기·가스업에서 줄었으나 제조업에서 늘며 전월 대비 2.2% 증가했다.

정부는 이달 물가상승세가 둔화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지난달 "굴곡진 흐름 속에 다소 둔화하고 있다"고 표현했던 것보다 물가 안정세에 긍정적으로 판단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작년 동월 대비 2.7% 올라 두 달 연속 2%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전월(2.9%)보다 상승 폭은 축소됐다. 과일 등 일부 품목의 고공행진은 이어졌고 석유류 가격 상승 폭이 확대됐으나 이를 제외하고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는 2.2% 상승했다.

최근 국제유가는 미국 금리인하 기대 지연 전망, 예상보다 낮은 여름철 수요 등으로 하락하는 추세다. 지난달 두바이유 평균 가격은 배럴당 84달러를 기록해, 전월(89.2달러)보다 하락했다.

기재부는 "조속한 물가안정 기조 안착, 내수 온기 확산 등 체감할 수 있는 회복을 통한 민생안정에 최우선 역점을 두겠다"며 "철저한 잠재 위험 관리와 우리 경제의 역동성 제고를 위한 노력을 병행하겠다"고 밝혔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